#1.
“시간을 공간과 맞바꾸는 자가
영원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시간을 영으로
채울 줄 아는 자가
영원을 획득한다_
문명의 문제를 푸는 열쇠는,
공간의 영역으로 달아나는 것이 아니라,
공간의 사물과 함께 일하되
영원을 사랑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나는_
비록 시간을 타고 자라났지만,
공간의 아이로 양육되어졌다.
그래서 지금껏 내가 열망해 온 것들은
주로 공간과 관련되어 있는
사물과 물질과 도구 같은 것들이다.
공간의 아이인 나에게
시간은 언제나 덧없고,
무상한 것이었다.
그래서 나는 시간을
어서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불청객으로 취급하거나,
혹은 간절히 돌아오길 열망해도
절대로 돌아오지 않는
고무신을 거꾸로 신은
비정한 연인인 양 원망을 해왔다.
더 나아가 나는 시간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분노하곤 했다.
시간이 내 남은 생명을
꼬박꼬박 착취하고는
결국 나를 죽음으로 밀어 넣는
인정사정없는 포주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2.
“신랑에게로 다가오는 신부가
사랑스럽고 아리땁고 향기롭듯이,
안식일도 사랑스럽고 향기롭게
이스라엘에게로 다가온다_
일곱째 날은 아름다움과
위엄이 넘치는 날이자,
경외와 주목과 사랑의 대상이다.
안식일이 시작되는
금요일 저녁이며,
마음과 영혼은 전율과
기쁨에 사로잡힌다_
고요한 밤에 안식이
노래를 흩뿌리며
이 세계에 당도한다.
안식일은 애무하듯이 다가와
두려움과 슬픔과 어둔 기억을
닦아 없앤다.”
내가 그 분으로부터 멀리 있던 시절,
나는 공간의 노예였다.
공간에 집착하고 중독되어 가면서
나는 쉼 없는 의식의 활동으로
점차 생명을 잃고 있었다.
내가 하는 일의 위상, 성취도에 따라서
내 가치가 결정되는
공간 속에는 흉측한 상처의 악취와
그로 인한 아픔과 슬픔과
두려움만 가득했다.
그런 공간을 뚫고
영원하신 그 분이 오셨다.
저 멀리서 흙먼지를 일으키시며
기어이 말씀으로 찾아오신 그 분은
내게 사랑스럽고, 아리땁고, 향기롭게 다가와
마음과 영혼에 전율과 기쁨을 선사하셨고,
모든 아픔과 슬픔과 두려움을 닦아내셨다.
그렇게 그 분은
이 책의 영향을 받아 쓴
마르바 던의 ‘안식’을 건네주시면서
나를 안식으로 초청하셨다.
#3.
“이 세상에 있는 동안
안식일의 맛을
음미할 줄 모르는 사람,
영생의 진가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내세에게 영원의 맛을
즐길 수는 없는 일이다_
안식일은 온통 거룩하다.
일곱째 날이 될 때마다
기적이 일어난다_
사람의 영혼과
만물의 영혼이 깨어난다_
우리의 삶은
일곱째 날을 향한
순례 여정이다_
한 주 내내 안식일을
동경하는 것이야말로
한평생 영원한 안식을
동경하는 하나의 형식이다_”
그러나_
나는 여전히 공간의 아이다.
시간은 여전히
내게는 버거운 상대다.
그래서 나는
그것에 쩔쩔 매기도 하고,
때론 그것이 없는 것처럼
무시하며 살아가기도 한다.
그래서_
그 분은 다시 내게
이 책을 내미셨던 것 같다.
돌이켜 보면_
그 분이 내게 세대와
역사와 음악을 가르치신 것은
모두 시간을, 안식을 가르치고
싶으셨기 때문인 것 같다.
눈을 감고
공간을 없앤 후
나는 시간 속에서
그 분께로 나아간다.
내 영혼이
그 분과 맞닿는 순간,
내 영혼은 영원의 안식을
맛보게 된다.
그렇게 나는 점점 더
그 분을 열망하게 된다.
#4.
“안식일 속에는
시간 속의 궁전을
지을 수 있는
영의 보석이 들어 있다.
그 속에서 인간은
하나님과 친해지고,
하나님을 닮은 것에 닿기를
갈망한다_
이 날은 인간과
세계의 조화를
깊이 자각하는 날이며,
만물에게 동정심을 품고
아래 있는 것과 위에 있는 것을
하나 되게 하는 분위기에 참여한다.”
그 분의 말씀을 통해서
그 분과 친해지고,
그 분을 닮기를 갈망하면서
나는 점차 그 분이 만드신
시간과 화해를 해나가고 있다.
즉, 그 분이
거룩하신 만드신 안식일,
그 보이지 않는 피조물을
나는 조금씩 알아보며
누리려고 애를 쓰고
있는 중인 것이다.
그렇게 안식일을 누릴수록
나는 더욱 그 분과 친밀해지고,
그 분을 닮아가게 될 것이다.
공간의 거품을 걷어내고
공간을 온전하게 하는 안식일.
안식일은 그 분의 무드가 담긴
술렁이는 음악의 전주다.
나는 그 전주를 들으면서
영원한 그 분의 노래를
즐길 준비를 하고 있다.
#May. 28. 2011. 글 by 이.상.예.
'그 여자의 보물창고 > HIS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 프란체스코의 작은 꽃들 (0) | 2012.03.15 |
---|---|
책과 노니는 집 (0) | 2012.02.03 |
케냐의 유혹 (0) | 2012.01.08 |
선교와 문화인류학 (0) | 2011.11.13 |
래디컬 (0) | 2011.10.26 |